JAVA (96) 썸네일형 리스트형 requestScope 사용 방법 requestScope는 request 객체와 동일한 기능 역할을 담당한다 submit 이용 하여 formData를 forward.jsp 로 데이터 전송 진행 전달받은 form 데이터 이후 request.setAttribute() 메서드 사용 하여 주소 데이터 저장 후 jsp:forward 태그 사용 하여 member1.jsp 파일로 데이터 전송 param 내장 객체 사용 하여 form 데이터 표시 및 requestScope 사용 하여 request.getAttribute() 메서드를 사용 하지 않고 주소 데이터 표시 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session이나 application 객체에 바인딩된 데이터는 sessionScope나 applicationScope로 접근 가능하다. 표현언어 내장객체(내장 변수) JSP는 기본적으로 내장 객체들을 제공 하지만 이 객체들은 표현식에서만 사용 할 수 있다. 표현언어에서 제공하는 내장 객체들은 ${} 안에서만 사용 할 수 있다. -표현 언어에서 제공하는 내장 객체의 종류와 기능- 구분 내장 객체 설명 스코프 pageScope JSP의 page와 같은 기능을 하고 page 영억에 바인딩된 객체를 참조 requestScope JSP의 request와 같은 기능을 하고 request에 바인딩된 객체를 참조 sessionScope JSP의 session과 같은 기능을 하고 session에 바인딩된 객체를 참조 applicationScope JSP의 application과 같은 기능을 하고 application에 바인딩된 객체를 참조 요청 매개변수 param request.ge.. 표현 언어의 empty 연산자 empty 연산자는 자바 빈의 속성이 값으로 설정 되었는지 또는 List,Map 같은 저장 객체에 값(객체)이 존재 하는지 판단 하는 연산자이다. 액션 태그로 생성한 m1 같은 경우 name 속성에 값이 지정 되어 있기 때문에 false 액션 태그로 생성한 m2는 빈 값이 생성 되어있기 때문에 true로 출력된다. JSP에서 표현 언어 사용 실습 -표현 언어 사용 방법- isELIgnored = "false" 지정 후 ${결과값}을 사용 하여 표현 언어를 사용 하면된다. -표현 언어 산술 연산- -표현 언어 비교 연산- 값이 같은지 비교 할 경우 == eq 값이 같지 않은지 비교 할 경우 != ne 대소 비교시 > = JSTL 표현 언어 현재 JSP페이지는 스크립트 요소보다 표현 언어(EL, Expression Language)와 JSTL(JSP Standrad Tag Library, JSP 표준 태그 라이버리)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표현 언어는 자바 코드가 들어가는 표현식을 좀 더 편리하게 사용 하기 위해 JSP 2.0 부터 도입된 데이터 출력 기능이다. -> JSP페이지에서 표현 언어를 사용하려면 페이지 디렉티브 태그의 속성인 isELIgnored를 false 설정을 해줘야 한다 -표현 언어의 특징- 기존 표현식보다 편리하게 값을 출력 변수와 여러가지 연산자를 포함 할 수 있다. JSP의 내장 객체에 저장된 속성 및 자바의 빈 속성도 표현 언어에서 출력할 수 있다. 표현 언어 자체 내장 객체도 제공된다. JSP 페이지 생성시 기본 설.. setProperty/getProperty 액션 태그를 이용한 회원 정보 조회 -setProperty와 getProperty 태그의 특징- 이름 정의 형식 setProperty useBean의 속성에 값을 설정하는 태그 -name : 액션태그의 id속성에 지정한 이름 -property: 값을 설정할 속성 이름 -value: 속성에 설정할 속성 값 getProperty useBean의 속성 값을 얻는 태그 -name : 액션태그의 id속성에 지정한 이름 -property: 값을 얻을 속성 이름 -setProperty 사용 예제- getter/setter 생성자를 사용 하지 않고 setProperty 액션 태그를 사용하여 생성자에 변수 값을 전달 할수있다. 하단 캡쳐는 setProperty 액션 태그를 사용하여 reqeust.getParameter() 메서드를 사용하여 전달받은 파라미.. 유즈빈 액션 태그를 이용 한 회원 정보 조회 유즈빈 액션 태그는 JSP 페이지에서 자바 빈을 대체하기 위한 태그로, 사용 형식은 다음과 같다 id -> jsp 페이지에서 자바 빈 객체에 접근할 때 사용할 이름 class -> 패키지 이름을 포함한 자바 빈 이름 scope -> 자바 빈에 대한 접근 범위 지정 (page, request, session aplication) -유즈빈 액션 태그 사용 예제- 자바 빈을 이용한 회원 정보 조회 자바 빈은 웹 프로그램, Java EE 프로그래밍시 여러 객체를 거치면서 만들어지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달 하는데 사용된다. Java의 DTO(Data Transfer Object, 데이터 전송 객체)클래스, VO(Value Object, 값 객체) 클래스와 같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자바 빈을 만드는 방법은 VO 클래스를 만드는 방법과 같으며 특징은 다음과 같다. 속성의 접근 제한자는 Private다. 각 속성(Attribute, property)는 각각의 setter/getter를 가진다. setter/getter의 첫 글자는 반드시 소문자다. 인자 없는 생성자를 반드시 가지며, 다른 생성자도 추가 할 수 있다. - 자바 빈을 이용한 회원 테이블 회원 정보 조회 방법- member.jsp 아이디..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