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자바 기초 다지기 #9
정숙씨의 쏠쏠한 코딩
2020. 9. 30. 00:40
-중복 if문 -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Sig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tdIn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정숫값 : "); int a = stdIn.nextInt(); if(a>0) // a보다 0이 클경우 if문 실행 System.out.println("이 값은 양수입니다"); else if(a>0) // a 보다 0이 클경우 else if문 실행하여 결과값 출력 System.out.println("이 값은 음수입니다.") else System.out.println("이 값은 0입니다.") } } |
정숫값을 입력하여 if elseif else 를 통하여 양수인지 음수인지 0인지 값을 출력하게된다.
if문 안에 else if라는 이중구조를 사용하여 값을 비교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EvenOdd{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tdIn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정숫값 : "); int a = stdIn.nextInt(); if(a>0) // a에 입력한 정숫값이 양수이면 하단의 if문 실행 if(a%2 == 0) // a의 입력한 값의 2로 나누어 나머지를 0과 비교 System.out.println("이 값은 짝수입니다."); else // a의 나눈 값의 나머지가 짝수가 아닐시 홀수입니다를 출력. System.out.println("이 값은 홀수입니다."); else // 입력한 값이 양수가 아닐경우 하단 값 출력 System.out.println("양수가 아닌닌 값을 입력 하였습니다") |
-식과 평가-
식(expression)
-변수
-리터럴
-변수와 리터럴을 연산자로 결합한 것
abc(변수)+32(리터럴)
xyz(선언값) = abc(변수) + 32(리터럴)
oo연산자에 의해 결합된 식을 oo식이라고 한다, 대입 연산장자에 의해 xyz와 abc + 32가 결합된 식의 경우 xyz = abc+32는 대입식(assignment expression)이라고 한다.
-평가-
식에는 기본적으로 형과 값이 있다 값의 경우 프로그램이 실행될때 조사된다.
식의 값을 조사하는 것을 평가(evaluation) 이라고 한다.
-식문과 공문-
a = c + 32; //식에 세미콜론을 붙인 문을 식문(expression statement) 라고 한다.
; 세미콜론만 붙인 문을 공문(empty statement) 라고 한다
※잘못된 경우
if(n>0); // 세미콜론이 붙어 if(n>0)값만 실행 System.out.println("이 값은 양수입니다.") // 세미콜론때문에 출력값으로 이 값은 양수입니다. 출력 |
if (a==1) if (b==1) else System.out.println("이 값이 맞나요?"); -예상 결과- a가 1이고 b도 1인경우 또는 a가 1이 아닌경우 -실 결과값 - b가 1과 같은경우 이값이 맞나요를 출력 출력 이유 : if문에서 else문이 출력이 될때 조건값은 가까운 if문을 따라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