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기술을 찾다가 웹앱 프로그레시브 공부를 진행하게되었다
구글에서 새로 만든 신기술이라 생각하면 되겠고 스타벅스 어플 관해서 제작한 대표적인 하이브리드 앱개발 언어라고 생각하면 될것같다.
공부한 책은 Do it 프로그레시브 웹앱으로 진행하게되었다.
-네이티브앱(native app)-
네이티브앱은 스마트폰 운영체제에서만 작동하는 앱을 말합니다.
운영체제에 맞는 별도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sdk라는 개발도구를 이용하여 앱제작이 가능하다.
ios같은경우 오브젝트-C(object-c). 스위프트(swift)언어를 이용해 Xcode에서 제작 후 배포 가능하다.
안드로이드 같은경우 자바(java) 또는 코틀린(kotiln)언어를 이용해 제작 후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배포 가능하다.
-네이티브 앱의 장단점-
장점 :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기능을 구현할수있다, 전 세계를 시장으로 삼을 수 있다, 홈 화면 아이콘을 눌러 손쉽게 접속한다, 푸시알림을 통해 앱 재사용을 유도한다.
단점 : 개발난이도가 높으며 시간이 다소 많이 소요된다, 같은 서비스를 os별로 제작해야 한다, 업데이트 진행시 다시 업데이트를 진행해야한다, 기기안에 용량을 많이 차지한다.
-모바일 웹앱의 장단점-
장점 : 이미 익숙한 웹 기술을 그대로 이용가능, 개발시간 단축 가능, 웹 브라우저만 설치되어있을시 어디서나 배포가능, 실시간으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단점 : 모든 하드웨어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앱스토어, 플레이스토어 이용 불가능, 네이티브 앱과 같은 빠르고 풍부한 사용자 경험에 제약이 발생, 인터넷 접속이 끊어질시 오프라인에서 사용 불가능
이 두가지의 장점을 합친게 프로그레시브 앱이라고 생각하면 될것같다.
하이브리드 앱은 웹 표준 기술을 사용해 웹앱을 먼저 제작한 후 별도의 프레임워크를 통해 네이티브 앱으로 변환하여 배포하게된다.
아파치 코르도바를 이용하여 웹앱을 네이티브 앱으로 변환 가능하다.
-하이브리드 앱의 장단점-
장점 : 기존에 사용하던 웹 개발 기술을 모든 운영체제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같은 코드를 모바일 운영체제 별로 다르게 패키징 할 수 있다, 네이티브 앱처럼 앱 스토어, 플레이 스토어에 배포할 수 있다, 네이티브 앱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단점 : 하드웨어 기능을 사용할수있으나 연결해주는 플러그인에 의존해야한다 제약 발생 가능성 있음, 네이티브 앱 배포와 같으므로 업데이트 발생시 다시 업데이트 해주어야함, 네이티브 앱과 같은 성능을 내기는 힘들다.
-차세대 신기술 프로그래시브 웹앱-
프로그래시브 웹앱은 모바일 웹앱처럼 쉽게 개발하고 네이티브 앱과 똑같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것이 궁극적인 목표.
본질은 웹이지만 앱처럼 쓸 수 있다.
'PW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살표 함수 (#5) (0) | 2020.09.26 |
---|---|
변수선언 (#4) (0) | 2020.09.26 |
재활용할 수 있는 블록 함수(PWA 공부#3) (0) | 2020.09.20 |
PWA의 6가지 핵심기술 (PWA공부 #2) (0) | 2020.09.20 |